본문 바로가기

칼럼/NPL 비지니스의 5가지 구성(5편)5

NPL 의 수익실현 (Incashment) 투자자배당, 배당채권의 재매각, 유입 후 소유권 재매각, 채권을 통한 부동산 개발 후 매가 등 2020. 5. 12.
NPL 의 운용 (Management) 배당투자, 유입투자, 특수물건(법정지상권, 유치권, 지분 등)의 유입 후 운용, 대위변제투자, 신탁에 의한 수익권증서거래 등 NPL분야에서 가장 어렵고 가장 큰 돈을 만들어내는 능력이다. 기본적으로 NPL을 싸게 매입하여 높은 가격에 낙찰이 되도록 하는 방법이 가장 기본적인 운용이다. 낙찰자를 맞추는 방법 채권자의 지위를 십분 활용하여 높은 낙찰가를 유도하는 방법이다. 상업용 부동산을 개발할 부지의 선순위 채권 2020. 5. 12.
NPL 매입시 레버리지 활용 기법 (Financing) 우선 론세일을 기준으로 채권매입시 들어가는 비용을 나열해 보면, 채권매입 원가, 거래일까지의 이자, 가지급금, 근저당권이전비용, 채권중개수수료 등이 들어간다. 채권을 매입할때 자기자본의 비율이 낮을 수록 수익률은 높아진다. (물론 수익금은 낮아지지만) 여기서 타인의 자본을 이용하는 방법이 레버리지 활용법이다. 통상 근저당권이라는 권리를 담보로 금전을 대부하여 주는 계약을 질권대출이라고 부른다. 경매가 진행되면 근저당권자의 배당권한 일부를 양도받아 근저당권자보다 먼저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권리관계를 만들어 놓고 채권자인 근저당권자에게 돈을 빌려주는 관계이다. 통상 채권매입금액에 80% 정도가 기준 LTV인데, 부동산담보대출 처럼 정해진 한도 규정은 아직 없다. 따라서 각 질권대출기관에서 담보물과 상환능력을.. 2020. 5. 12.
NPL의 가치평가 (Valuation) 권리분석, 임장활동, 예상낙찰가분석, 선순위공제금액분석, 당해세(조세)분석, 수익률분석 등 부동산 현황과 경매사건 분석 등기부등본, 건축물대장, 토지대장, 임야대장 등을 준비하여 소재지 주소와 건물의 용도, 토지와 건물의 면적, 건물의 보존등기일자, 소유자와 채무자의 관계, 경매개시일, 법원감정가격, 배당요구종기일, 근저당권설정일자, 채권최고액, 청구액 등을 분석한다. NPL분석 채권순위, 채권최고액, 채권원금, 잔존채권원금(OPB), 정상이자, 연체이자, 선순위채권분석, 소액임차보증금분석, 당해세분석, 조세분석, 배당가능액 등을 분석한다. 예상낙찰가분석 각종 서류를 통해서 손품을 팔았다면 직접 내 눈과 귀를 통해 현장을 경험하여야 한다. 바로 임장활동인데, 사건의 물건지를 탐문하고 현재 거주자를 만나보.. 2020. 5. 12.
NPL 매입에 관한 정보취득 방법 (Intelligence Collection) 부실채권시장분석, 부실채권매입처, 매입방법, 리서치방법, 매각사(은행)선정방법 등 주관사로는 PWC(삼일), KPMG(삼정), DELOITTE, E&Y, DW, 예일 국제입찰방식 고정이하의 여신을 정리 - 주관사를 선정 - Pool 구성 - 초대장(IL) 발송 - 입찰정보자료 발송 - 입찰 - 낙찰 - 채권양수도계약 - AM에 할당 - AMP 산정 - 매각 및 배당 - 종결 이라는 프로세스를 가진다. 그 외 1) 입찰시장에 직접 참여 2) 유동화회사에서 매입 3) 신협, 수협,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대부업체 등 에서 매입 분기별로 입찰에 참여하는 투자사들은 낙찰받은 채권Pool을 관리사에게 전달하고 일정 기간 후 채권 각각의 수익 목표가를 산정한다. 일반 투자자가 NPL은 이들 관리사 담당 매니저들에게.. 2020.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