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L의 가치평가 (Valuation)
권리분석, 임장활동, 예상낙찰가분석, 선순위공제금액분석, 당해세(조세)분석, 수익률분석 등 부동산 현황과 경매사건 분석 등기부등본, 건축물대장, 토지대장, 임야대장 등을 준비하여 소재지 주소와 건물의 용도, 토지와 건물의 면적, 건물의 보존등기일자, 소유자와 채무자의 관계, 경매개시일, 법원감정가격, 배당요구종기일, 근저당권설정일자, 채권최고액, 청구액 등을 분석한다. NPL분석 채권순위, 채권최고액, 채권원금, 잔존채권원금(OPB), 정상이자, 연체이자, 선순위채권분석, 소액임차보증금분석, 당해세분석, 조세분석, 배당가능액 등을 분석한다. 예상낙찰가분석 각종 서류를 통해서 손품을 팔았다면 직접 내 눈과 귀를 통해 현장을 경험하여야 한다. 바로 임장활동인데, 사건의 물건지를 탐문하고 현재 거주자를 만나보..
2020. 5. 12.
NPL 매입에 관한 정보취득 방법 (Intelligence Collection)
부실채권시장분석, 부실채권매입처, 매입방법, 리서치방법, 매각사(은행)선정방법 등 주관사로는 PWC(삼일), KPMG(삼정), DELOITTE, E&Y, DW, 예일 국제입찰방식 고정이하의 여신을 정리 - 주관사를 선정 - Pool 구성 - 초대장(IL) 발송 - 입찰정보자료 발송 - 입찰 - 낙찰 - 채권양수도계약 - AM에 할당 - AMP 산정 - 매각 및 배당 - 종결 이라는 프로세스를 가진다. 그 외 1) 입찰시장에 직접 참여 2) 유동화회사에서 매입 3) 신협, 수협,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대부업체 등 에서 매입 분기별로 입찰에 참여하는 투자사들은 낙찰받은 채권Pool을 관리사에게 전달하고 일정 기간 후 채권 각각의 수익 목표가를 산정한다. 일반 투자자가 NPL은 이들 관리사 담당 매니저들에게..
2020. 5. 12.